디자인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문제에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겠습니다. 디자인 유사성 판단은 복잡한 법적 요소가 포함되므로 판례를 근거로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각 선택지를 하나씩 분석해 보겠습니다.
① 물품 중 당연히 있어야 할 부분은 그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고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부분을 주로 평가한다.
- 디자인에서 당연히 있어야 할 부분은 기능적 요소가 많기 때문에, 유사성 판단 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이는 합리적인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기능적 요소는 디자인의 독창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② 대비되는 두 디자인이 형상과 모양에서 동일하고 색채의 구성에 있어서도 바탕색으로 된 부분과 채색되어 있는 부분의 위치와 면적 등 기본적인 채색 구도가 동일하다면, 그 두 디자인의 채색된 부분의 구체적인 색채가 다른 색으로 선택되었다는 점만으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사한 디자인으로 본다.
- 디자인 유사성을 판단할 때 색채의 차이는 때때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디자인이 형상, 모양, 색채 구성까지 동일하다면, 색상만 바뀌었다고 해서 유사성을 크게 변경할 수는 없다는 판례들이 존재합니다. 이 선택지는 일반적으로 옳다고 판단됩니다.
③ 대비되는 디자인의 대상 물품들이 다같이 그 기능 내지 속성상 사용에 의하여 당연히 형태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에 그 디자인의 유사 여부는 형태의 변화 전후에 따라 서로 같은 상태에서 각각 대비한 다음 이를 전체적으로 판단한다.
- 물품의 기능적 변화에 따라 디자인의 형태가 바뀌는 경우, 변화 전후의 디자인을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은 합리적인 접근입니다. 이는 유사성 판단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④ 디자인의 구성요소 중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형상 또는 공지의 형상 부분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이 특별한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요소가 되지 못하는 것이 아닌 한 그것까지 포함하여 전체로서 관찰하여 느껴지는 장식적 심미감에 따라 판단한다.
- 기능적 요소는 디자인에서 중요한 부분일 수 있지만, 그것이 미적인 감각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면 유사성 판단에서 그 중요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디자인 판단에서 장식적 심미감이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는 점에서 옳은 접근입니다.
⑤ 디자인의 유사 여부는 이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대비할 것이 아니라 그 외관을 전체적으로 대비 관찰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상이한 심미감을 느끼게 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므로, 보는 방향에 따라 느껴지는 미감이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할 경우에는 그 미감이 다르게 느껴지는 방향으로 두고 이를 대비하여 유사 여부를 판단한다.
- 디자인의 유사성은 개별 요소보다는 전체적인 외관을 고려해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보는 방향에 따라 느껴지는 미감이 다르다면, 그것이 유사성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 선택지는 다소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⑤가 옳지 않은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이유는 디자인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 보는 방향에 따른 미감의 차이를 고려하는 것은 일반적인 법리와 판례에서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리사 38 복수디자인등록출원 (3) | 2025.03.23 |
---|---|
변리사 기출 풀이 분석 39 (0) | 2025.03.20 |
변리사 1차(1교시) 2024년 02월 24일 필기 기출문제 31~40 이론 (0) | 2025.02.07 |
변리사 1차(1교시) 2024년 02월 24일 필기 기출문제 21~30 이론 (0) | 2025.02.07 |
변리사 1차(1교시) 2024년 02월 24일 필기 기출문제 1~20 이론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