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대지에서 용접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가 용접봉에 접촉한 경우 통전전류는? (단, 용접기의 출력 측 무부하전압 : 90v, 접촉저항(손, 용접봉 등 포함) : 10kΩ, 인체의 내부저항 : 1kΩ, 발과 대지의 접촉저항 : 20kΩ 이다.)
① 약 0.19 mA ② 약 0.29 mA
③ 약 1.96 mA ④ 약 2.90 mA
62. KS C IEC 60079-10-2에 따라 공기 중에 분진운의 형태로 폭발성 분진 분위기가 지속적으로 또는 장기간 또는 빈번히 존재하는 장소는?
① 0종 장소 ② 1종 장소
③ 20종 장소 ④ 21종 장소
63. 설비의 이상현상에 나타나는 아크(Arc)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단락에 의한 아크 ② 지락에 의한 아크
③ 차단기에서의 아크 ④ 전선저항에 의한 아크
64. 정전기 재해방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이황화탄소의 수송 과정에서 배관 내의 유속을 2.5m/s 이상으로 한다.
② 포장 과정에서 용기를 도전성 재료에 접지한다.
③ 인쇄 과정에서 도포량을 소량으로 하고 접지한다.
④ 작업장의 습도를 높여 전하가 제거되기 쉽게 한다.
65.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저압의 기계기구가 시설되어 있다. 이 기계기구의 사용전압이 몇 V를 초과할 때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가? (단, 누전차단기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은 제외한다.)
① 30V ② 40V
③ 50V ④ 60V
66. 다음 중 방폭설비의 보호등급(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제1 특성 숫자가 “1”인 경우 지름 50mm 이상의 외부 분진에 대한 보호
② 제1 특성 숫자가 “2”인 경우 지름 10mm 이상의 외부 분진에 대한 보호
③ 제2 특성 숫자가 “1”인 경우 지름 50mm 이상의 외부 분진에 대한 보호
④ 제2 특성 숫자가 “2”인 경우 지름 10mm 이상의 외부 분진에 대한 보호
67.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물체의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발생량은 적어진다.
② 접촉면적이 크고 접촉압력이 높을수록 발생량이 많아진다.
③ 물체 표면이 수분이나 기름으로 오염되면 산화 및 부식에 의해 발생량이 많아진다.
④ 정전기의 발생은 처음 접촉, 분리할 때가 최대로 되고 접촉, 분리가 반복됨에 따라 발생량은 감소한다.
68. 전기기기, 설비 및 전선로 등의 충전 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한 장비는?
① 위상검출기 ② 디스콘 스위치
③ COS ④ 저압 및 고압용 검전기
69. 피뢰기로서 갖추어야 할 성능 중 틀린 것은?
① 충격 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② 뇌전류 방전 능력이 클 것
③ 제한전압이 높을 것
④ 속류 차단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것
70. 접지저항 저감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접지극의 병렬 접지를 실시한다.
② 접지극의 매설 깊이를 증가시킨다.
③ 접지극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한다.
④ 접지극 주변의 토양을 개량하여 대지 저항률을 떨어뜨린다.
71. 교류 아크용접기의 사용에서 무부하 전압이 80V, 아크 전압 25V, 아크 전류 300A 일 경우 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내부손실은 4kW 이다.)
① 65.2 ② 70.5
③ 75.3 ④ 80.6
72. 아크방전의 전압전류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②
③
④
73. 다음 중 기기보호등급(EP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EPL Ga ② EPL Ma
③ EPL Dc ④ EPL Mc
7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① 철판·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전기기계·기구
② 대지전압이 220V인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③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전기기계·기구
④ 절연대 위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75. 다음 설명이 나타내는 현상은?
① 흑연화현상 ② 트래킹현상
③ 반단선현상 ④ 절연이동현상
76. 다음 중 방폭구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본질안전 방폭구조 ② 고압 방폭구조
③ 압력 방폭구조 ④ 내압 방폭구조
77. 심실세동 전류
라면 심실세동 시 인체에 직접 받는 전기에너지(cal)는 약 얼마인가? (단, t는 통전시간으로 1초이며, 인체의 저항은 500Ω으로 한다.)
① 0.52 ② 1.35
③ 2.14 ④ 3.27
7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전기기계·기구에 설치 시 고려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전기기계·기구의 충분한 전기적 용량 및 기계적 강도
② 전기기계·기구의 안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시간 가동율
③ 습기·분진 등 사용장소의 주위 환경
④ 전기적·기계적 방호수단의 적정성
79. 정전작업 시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작업 전 전기설비의 잔류 전하를 확실히 방전한다.
② 개로된 전로의 충전여부를 검전기구에 의하여 확인한다.
③ 개폐기에 잠금장치를 하고 통전금지에 관한 표지판은 제거한다.
④ 예비 동력원의 역송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단락접지 기구를 사용하여 단락 접지를 한다.
80.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의 위험이 가장 높은 것은?
① 드라이클리닝설비 ② 농작물 건조기
③ 가습기 ④ 전동기
전기 및 안전 관련 이론 정리
1. 통전전류 계산
통전전류는 옴의 법칙(Ohm’s Law)인 I=VRI = \frac{V}{R}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 VV는 용접기의 출력 측 무부하전압이며, 저항 RR은 인체 내부저항, 접촉저항, 발과 대지의 접촉저항을 모두 포함한다.
2. 폭발성 분진 분위기의 구분
KS C IEC 60079-10-2에 따르면, 폭발성 분진이 공기 중에 지속적, 장기간 또는 빈번히 존재하는 장소는 20종 장소로 구분된다.
3. 아크(Arc)의 종류
아크는 전기적 이상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단락, 지락, 차단기 개폐 시 발생한다. 그러나 전선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은 아크라고 하지 않는다.
4. 정전기 재해방지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 내 유속을 조절하고, 접지 및 습도 조절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유속이 너무 높을 경우 정전기가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
5. 저압 기계기구의 누전차단기 설치 기준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르면,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금속제 외함을 가진 저압 기계기구는 사용 전압이 50V를 초과할 경우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6. 보호등급(IP) 설명
보호등급(IP Code)에서 첫 번째 숫자는 고체 입자 보호, 두 번째 숫자는 액체 보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숫자가 1이면 50mm 이상의 고체 입자로부터 보호되며, 2이면 10mm 이상의 입자로부터 보호된다.
7. 정전기 발생 요인
정전기 발생은 물체의 분리 속도가 빠를수록 증가하며, 접촉면적과 압력이 클수록 더 많이 발생한다. 또한, 표면 오염이 있으면 산화 및 부식에 의해 발생량이 증가할 수 있다.
8. 검전기 역할
전기기기 및 설비의 충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저압 및 고압용 검전기가 사용된다.
9. 피뢰기의 성능 요건
피뢰기는 낙뢰로부터 전기 설비를 보호하는 장치로, 충격 방전 개시전압이 낮고, 뇌전류 방전 능력이 크며, 제한전압이 낮아야 한다.
10. 접지저항 저감 방법
접지저항을 낮추기 위해 병렬 접지를 실시하고, 접지극의 매설 깊이를 증가시키며, 접지극 주변의 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이 있다. 접지극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은 저감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11. 아크용접기의 효율 계산
효율(%) = 출력전력입력전력×100\frac{\text{출력전력}}{\text{입력전력}} \times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입력전력은 무부하 전압과 아크 전류의 곱에서 내부 손실을 포함하여 구한다.
12. 아크방전 특성
아크방전은 전압이 일정 구간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며, 특정 조건에서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이 감소하는 비선형 특성을 가진다.
13. EPL(기기보호등급) 설명
방폭설비 보호등급(EPL)은 Ga, Gb, Gc 등의 등급으로 구분되며, Mc 등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14. 누전차단기 설치 예외 장소
전기가 잘 통하는 철판·철골 위에서 사용하는 기계·기구에는 감전 위험이 높아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절연대 위에서 사용하는 경우 감전 위험이 낮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15. 트래킹 현상
절연체 표면에서 전기가 흐르면서 절연 성능이 저하되고 탄화된 도전성 경로가 형성되는 현상을 트래킹(Tracking) 현상이라고 한다.
16. 방폭구조의 종류
방폭구조에는 본질안전 방폭구조, 압력 방폭구조, 내압 방폭구조 등이 있으며, ‘고압 방폭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17. 심실세동 전류와 전기에너지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전류가 인체를 통과할 때, 전기에너지는 W=I2RtW = I^2Rt 공식을 이용해 계산할 수 있다.
18. 전기기계·기구 설치 시 고려사항
전기기계·기구 설치 시에는 충분한 전기적 용량, 사용 장소의 환경, 방호수단의 적정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시간 가동율은 직접적인 고려 사항이 아니다.
19. 정전작업 시 조치사항
정전작업 시에는 잔류 전하를 방전하고, 검전기로 충전 여부를 확인하며, 개폐기에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통전금지 표지판을 제거하는 것은 잘못된 조치이다.
20.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
드라이클리닝 설비는 인화성이 높은 용제를 사용하므로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이 가장 크다.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2년 04월 24일 41번 ~60번 문제 (0) | 2025.02.05 |
---|---|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2년 04월 24일 21번 ~40번 문제 (0) | 2025.02.03 |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022년 4월 24일 (1)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