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다음 중 와이어 로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클립 ② 소선
③ 스트랜드 ④ 심강
4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용 로봇에 의한 작업 시 안전조치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로봇의 운전으로 인해 근로자가 로봇에 부딪힐 위험이 있을 때에는 높이 1.8m 이상의 울타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로봇의 기동스위치 등은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그 스위치 등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필요한 조치를 한다.
③ 로봇의 조작방법 및 순서, 작업 중의 매니퓰레이터의 속도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작업을 하여야 한다.
④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이상을 발견하면, 관리 감독자에게 우선 보고하고, 지시가 나올 때 까지 작업을 진행한다.
43. 밀링 작업 시 안전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테이블 위에 공구나 기타 물건 등을 올려놓지 않는다.
② 제품 치수를 측정할 때는 절삭 공구의 회전을 정지한다.
③ 강력 절삭을 할 때는 일감을 바이스에 짧게 물린다.
④ 상·하, 좌·우 이송장치의 핸들은 사용 후 풀어 둔다.
44. 다음 중 지게차의 작업 상태별 안정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V는 최고속도(km/h) 이다.)
① 기준 부하상태의 하역작업 시의 전후 안정도는 20% 이내이다.
② 기준 부하상태의 하역작업 시의 좌우 안정도는 6% 이내이다.
③ 기준 무부하상태에서 주행 시의 전후 안정도는 18% 이내이다.
④ 기준 무부하상태의 주행 시의 좌우 안정도는 (15 + 1.1V)% 이내이다.
4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일러의 안전한 가동을 위하여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하여야 하는가?
① 1.03배 ② 1.05배
③ 1.2배 ④ 1.5배
46. 금형의 설치, 해체, 운반 시 안전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운반을 통하여 관통 아이볼트가 사용될 때는 구멍 틈새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② 금형을 설치하는 프레스의 T홈 안길이는 설치 볼트 지름의 1/2 이하로 한다.
③ 고정볼트는 고정 후 가능하면 나사산을 3~4개 정도 짧게 남겨 설치 또는 해체 시 슬라이드 면과의 사이에 협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④ 운반 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닿을 위험이 있을 때는 고정 패드를 이용한 스트랩, 금속재질이나 우레탄 고무의 블록 등을 사용한다.
47. 선반에서 절삭 가공 시 발생하는 칩을 짧게 끊어지도록 공구에 설치되어 있는 방호장치의 일종인 칩 제거 기구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칩 브레이커 ② 칩 받침
③ 칩 쉴드 ④ 칩 커터
4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대상 방호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연삭기 덮개
② 압력용기 압력방출용 파열판
③ 압력용기 압력방출용 안전밸브
④ 방폭구조(防爆構造) 전기기계·기구 및 부품
49. 인장강도가 250 N/mm2인 강판에서 안전율이 4라면 이 강판의 허용응력(N/mm2)은 얼마인가?
① 42.5 ② 62.5
③ 82.5 ④ 102.5
5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강렬한 소음작업에서 데시벨에 따른 노출시간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하는 직업
②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하는 직업
③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5분 이상 발생하는 직업
④ 12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7분 이상 발생하는 직업
51.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에 따라 프레스 및 전단기에 사용되는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정상동작표시램프는 녹색, 위험표시램프는 붉은색으로 하며,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②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에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③ 방호장치는 릴레이,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의 고장, 전원전압의 변동 및 정전에 의해 슬라이드가 불시에 동작하지 않아야 하며, 사용전원전압의 ±(100분의 10)의 변동에 대하여 정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④ 방호장치의 감지기능은 규정한 검출영역 전체에 걸쳐 유효하여야 한다.(다만, 블랭킹 기능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다.)
5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연삭기 작업 시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는?
① 탁상용 연삭기에서 숫돌과 작업 받침대의 간격이 5mm 이다.
② 덮개 재료의 인장강도는 224MPa 이다.
③ 숫돌 교체 후 2분 정도 시험운전을 실시하여 해당 기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④ 작업 시작 전 1분 정도 시험운전을 실시하여 해당 기계의 이상여부를 확인하였다.
53. 보기와 같은 기계요소가 단독으로 발생시키는 위험점은?
① 협착점 ② 끼임점
③ 절단점 ④ 물림점
54. 다음 중 크레인의 방호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권과방지장치 ② 과부하방지장치
③ 비상정지장치 ④ 자동보수장치
5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②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③ 크랭크축·플라이휠·슬라이드·연결봉 및 연결나사의 풀림 유무
④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 볼트의 상태
56. 설비보전은 예방보전과 사후보전으로 대별된다. 다음 중 예방보전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시간계획보전 ② 개량보전
③ 상태기준보전 ④ 적응보전
57. 천장크레인에 중량 3kN의 화물을 2줄로 매달았을 때 매달기용 와이어(sling wire)에 걸리는 장력은 약 몇 kN 인가? (단, 매달기용 와이어(sling wire) 2줄 사이의 각도는 55° 이다.)
① 1.3 ② 1.7
③ 2.0 ④ 2.3
58. 다음 중 롤러의 급정지 성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앞면 롤러 표면 원주속도가 25m/min, 앞면 롤러의 원주가 5m 일 때 급정지거리 1.6m 이내
② 앞면 롤러 표면 원주속도가 35m/min, 앞면 롤러의 원주가 7m 일 때 급정지거리 2.8m 이내
③ 앞면 롤러 표면 원주속도가 30m/min, 앞면 롤러의 원주가 6m 일 때 급정지거리 2.6m 이내
④ 앞면 롤러 표면 원주속도가 20m/min, 앞면 롤러의 원주가 8m 일 때 급정지거리 2.6m 이내
59. 조작자의 신체부위가 위험한계 밖에 위치하도록 기계의 조작 장치를 위험구역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게 하는 방호장치는?
① 덮개형 방호장치 ② 차단형 방호장치
③ 위치제한형 방호장치 ④ 접근반응형 방호장치
6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아세틸렌 발생기실을 설치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벽은 가연성 재료로 하고 철근 콘크리트 또는 그 밖에 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로 할 것
② 바닥면적의 16분의 1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 배기통을 옥상으로 돌출시키고 그 개구부를 창이나 출입구로부터 1.5미터 이상 떨어지도록 할 것
③ 출입구의 문은 불연성 재료로 하고 두께 1.0 밀리미터 이하의 철판이나 그 밖에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로 할 것
④ 발생기실을 옥외에 설치한 경우에는 그 개구부를 다른 건축물로부터 1.0미터 이내 떨어지도록 할 것
1. 와이어 로프의 구성 요소
와이어 로프는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강철 케이블로, 주로 소선, 스트랜드, 심강으로 구성됩니다.
- 소선(Wire): 개별적인 철선으로, 여러 개가 꼬여서 하나의 스트랜드를 만듭니다.
- 스트랜드(Strand): 여러 개의 소선을 꼬아 만든 다발로, 여러 개의 스트랜드가 모여 와이어 로프를 형성합니다.
- 심강(Core): 와이어 로프의 중심부로, 로프의 유연성과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편, **클립(Clip)**은 와이어 로프의 끝을 고정하는 부속품으로, 와이어 로프의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2. 산업용 로봇 작업 시 안전조치
산업용 로봇을 사용할 때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합니다.
- 로봇과 작업자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높이 1.8m 이상의 울타리 설치
- 작업 중에는 작업자가 아닌 사람이 로봇을 조작하지 못하도록 조치
- 작업 지침(조작 방법, 속도 등)에 따라 작업 수행
그러나, 이상 발견 시 즉시 작업 중지 후 보고해야 하며, 지시가 나오기 전까지 작업을 진행해서는 안 됩니다.
3. 밀링 작업 시 안전수칙
밀링 작업 중 안전을 유지하려면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공구나 기타 물건을 테이블 위에 두지 않는다.
- 절삭 공구가 회전 중일 때 제품 치수를 측정하지 않는다.
- 바이스에 일감을 짧게 물리면 강력 절삭 시 위험하므로 적절한 길이로 물려야 한다.
- 이송장치 핸들은 사용 후 풀어 두지 않는다. (풀어두면 원치 않는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음)
4. 지게차의 안정성 기준
지게차 작업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면 기준 부하 및 무부하 상태에서의 안정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 하역작업 시 전후 안정도는 20% 이내
- 하역작업 시 좌우 안정도는 6% 이내
- 무부하 주행 시 전후 안정도는 18% 이내
- 좌우 안정도는 (15 + 1.1V)% 이내 (여기서 V는 최고속도)
5. 보일러 압력방출장치의 작동 기준
보일러는 과압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방출장치(안전밸브 등)를 장착해야 합니다.
-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
-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의 1.05배 이하에서 작동
6. 금형 설치·해체·운반 시 안전수칙
금형을 안전하게 설치·해체·운반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아이볼트 사용 시 구멍 틈새를 최소화하여 견고하게 고정
- T홈 안길이는 설치 볼트 지름의 1/2을 초과해야 함
- 고정볼트의 나사산을 3~4개 정도 남겨 슬라이드 면과 협착 방지
- 운반 시 금형이 맞닿아 손상되지 않도록 패드, 고무 블록 등을 사용
7. 선반 작업 시 칩 제거 기구
선반 작업에서 발생하는 금속 칩이 길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칩 브레이커(Chip Breaker)**가 사용됩니다.
- 칩 브레이커는 공구에 설치되어 칩을 짧게 끊어주어 안전성을 높이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킵니다.
8. 안전인증 대상 방호장치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일부 방호장치는 안전인증 대상에 포함됩니다.
- 연삭기 덮개, 압력용기 안전밸브, 파열판 등은 인증이 필요
- 방폭구조 전기기계 및 부품은 안전인증 대상이 아님
9. 강판의 허용응력 계산
강판의 허용응력은 인장강도 ÷ 안전율로 계산됩니다.
- 인장강도 = 250 N/mm²
- 안전율 = 4
- 허용응력 = 250 ÷ 4 = 62.5 N/mm²
10. 소음 기준과 노출 시간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소음 노출 시간 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 100dB 이상: 1일 2시간 이하
- 110dB 이상: 1일 30분 이하
- 115dB 이상: 1일 15분 이하
- 120dB 이상: 1일 7분 이하 → (잘못된 기준, 실제 기준보다 과도하게 낮음)
11. 프레스 방호장치 기준
프레스 및 전단기 방호장치는 다음을 충족해야 합니다.
- 정상 동작 표시 램프는 녹색, 위험 표시 램프는 붉은색
- 정전 및 방호장치 이상 시 정지할 수 있는 구조
- 전원 변동(±10%)에도 정상 작동
- 감지기능이 전체 검출영역에서 유효해야 함
12. 연삭기 작업 전 안전확인
연삭기 작업자는 작업 전, 작업 중, 숫돌 교체 후 안전점검을 해야 합니다.
- 작업 시작 전 1분간 시험운전 실시
- 숫돌 교체 후 2분 이상 시험운전 필요
13. 크레인의 방호장치
크레인에는 다양한 방호장치가 장착되며, 대표적으로
- 권과방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등이 있음
- 자동보수장치는 크레인의 방호장치가 아님
14. 프레스 점검사항
프레스 작업 전 점검해야 할 항목
- 클러치 및 브레이크 기능
- 크랭크축, 플라이휠, 연결봉 등의 풀림 여부
- 금형 및 고정 볼트 상태
- 압력방출장치는 프레스 점검사항이 아님
15. 예방보전과 사후보전
설비보전은 예방보전(고장 전에 관리)과 사후보전(고장 후 복구)으로 나뉩니다.
- 예방보전에는 시간계획보전, 상태기준보전, 적응보전 등이 포함됨
- 개량보전은 예방보전이 아님 (이는 설비 개선을 위한 보전 방식)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2년 04월 24일 61번 ~80번 문제 (0) | 2025.02.05 |
---|---|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2년 04월 24일 21번 ~40번 문제 (0) | 2025.02.03 |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022년 4월 24일 (1)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