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 안전관리론
1. 매슬로우(Maslow)의 인간의 욕구단계 중 5번째 단계에 속하는 것은?
① 안전 욕구 ② 존경의 욕구
③ 사회적 욕구 ④ 자아실현의 욕구
2. A사업장의 현황이 다음과 같을 때 이 사업장의 강도율은?

① 0.22 ② 2.22
③ 22.28 ④ 222.88
3. 보호구 자율안전확인 고시상 자율안전확인 보호구에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4. 학습지도의 형태 중 참가자에게 일정한 역할을 주어 실제적으로 연기를 시켜봄으로서 자기의 역할을 보다 확실히 인식시키는 방법은?
① 포럼(Forum)
② 심포지엄(Symposium)
③ 롤 플레잉(Role playing)
④ 사례연구법(Case study method)
5.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상 전로 또는 평로 등의 작업 시 사용하는 방열두건의 차광도 번호는?
① #2 ~ #3 ② #3 ~ #5
③ #6 ~ #8 ④ #9 ~ #11
6. 산업재해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재해발생 건수 등의 추이에 대해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재해통계 분석기법은?
① 관리도 ② 안전 T점수
③ 파레토도 ④ 특성 요인도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① ㄱ, ㄴ, ㄷ, ㄹ ② ㄱ, ㄴ, ㄹ, ㅁ
③ ㄱ, ㄷ, ㄹ, ㅁ ④ ㄴ, ㄷ, ㄹ, ㅁ
8. 억측판단이 발생하는 배경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정보가 불확실할 때
② 타인의 의견에 동조할 때
③ 희망적인 관측이 있을 때
④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을 때
9. 하인리히의 사고예방원리 5단계 중 교육 및 훈련의 개선, 인사조정, 안전관리규정 및 수칙의 개선 등을 행하는 단계는?
① 사실의 발견 ② 분석 평가
③ 시정방법의 선정 ④ 시정책의 적용
10. 재해예방의 4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재해발생은 반드시 원인이 있다.
② 손실과 사고와의 관계는 필연적이다.
③ 재해는 원인을 제거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④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은 반드시 존재한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 및 명령을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은?
①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②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③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④ 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인 사업장에서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12. 버드(Bird)의 재해분포에 따르면 20건의 경상(물적, 인적상해)사고가 발생했을 때 무상해·무사고(위험순간) 고장 발생 건수는?
① 200 ② 600
③ 1200 ④ 12000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거푸집 동바리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 시 특별교육 내용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① 비계의 조립순서 및 방법에 관한 사항
② 조립 해체 시의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③ 동바리의 조립방법 및 작업 절차에 관한 사항
④ 조립재료의 취급방법 및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의 안전보건표지 중 기본모형이 다른 것은?
① 위험장소 경고 ② 레이저 광선 경고
③ 방사성 물질 경고 ④ 부식성 물질 경고
15.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의 4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인지 → 이해 → 지각 → 적용
② 인지 → 지각 → 이해 → 적용
③ 지각 → 이해 → 인지 → 적용
④ 지각 → 인지 → 이해 → 적용
16. 기업 내 정형교육 중 TWI(Training Within Industry)의 교육내용이 아닌 것은?
① Job Method Training
② Job Relation Training
③ Job Instruction Training
④ Job Standardization Training
17. 레빈(Lewin)의 법칙 B = f(P • E) 중 B가 의미하는 것은?
① 행동 ② 경험
③ 환경 ④ 인간관계
18. 재해원인을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으로 분류할 때 직접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① 물적 원인 ② 교육적 원인
③ 정신적 원인 ④ 관리적 원인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가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① 업무 수행 내용의 기록
②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조언
③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지도·조언
④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환기장치 및 국소 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검
20. 헤드십(headship)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휘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② 상사의 권한 증거는 비공식적이다.
③ 상사와 부하의 관계는 지배적이다.
④ 상사와 부하의 사회적 간격은 넓다.
-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에서는 인간의 욕구를 다섯 단계로 나누며, 5번째 단계는 자아실현의 욕구입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하려는 욕구를 의미합니다. - 강도율 계산
강도율은 주로 노동환경에서의 재해나 사고 비율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주어진 수치는 재해율을 나타내며, 특정 공식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 보호구 자율안전확인 고시
자율안전확인 보호구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고시된 규격이나 인증사항이 표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보호구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학습지도의 형태 - 롤플레잉
롤 플레잉(Role playing)은 학습자에게 특정 역할을 부여하고, 실제 상황을 연기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그 역할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는 학습 방법입니다. - 방열두건의 차광도 번호
특정 작업환경에서 보호구, 특히 방열두건은 사용자가 직면할 수 있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도를 요구하며, 법적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차광도가 표시됩니다. - 재해통계 분석기법 - 관리도
관리도(Control chart)는 재해나 품질 문제 등을 시간에 따라 추적하고,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를 관리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품질 관리나 재해 예방에 유용합니다. -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안전보건관리규정은 사업장에서 필요한 안전보건 관련 사항들을 포함하며, 주로 법적으로 요구되는 내용들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 억측판단
억측판단이란, 불확실한 정보나 상황에서 잘못된 추측을 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보가 불확실하거나, 개인의 과거 경험에 의한 신뢰성 있는 판단이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 하인리히의 사고예방원리
하인리히의 원리에서 "시정방법의 선정" 단계는 실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 사항을 선택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입니다. - 재해예방의 4원칙
재해는 항상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는 원칙을 따릅니다. 각 원칙은 사고와 손실의 관계를 명확히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진단
안전보건진단은 일정 기준을 넘는 위험이 발생하는 사업장에서 요구되며, 이에 따라 명령을 받고 개선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 - 버드의 재해분포
버드의 재해분포에 따르면, 경상사고가 발생하면 그것에 비례하여 더 많은 위험 순간들이 발생한다고 예측합니다. 이때 경상사고의 비율에 맞춰 무사고나 무상해 사고가 발생하는 빈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거푸집 동바리의 특별교육
거푸집 동바리 작업에 관련된 특별교육은 사고 예방을 위해 조립 및 해체 방법에 대한 교육을 포함해야 합니다. - 안전보건표지의 기본모형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는 특정한 위험을 나타내는 경고 표지로, 표지의 기본모형을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 학습정도의 단계
학습정도(Level of learning)에서는 기본적으로 인지, 이해, 적용 등의 단계를 거쳐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습득합니다. - TWI 교육내용
**TWI(Training Within Industry)**는 산업 현장에서 직원 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직무 방법, 관계, 지침을 교육합니다. - 레빈의 법칙
레빈의 법칙에서 B는 행동(Behavior)을 나타내며, 행동은 개인(P)과 환경(E)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됩니다. - 재해원인의 분류
재해원인은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직접원인은 사고 발생에 바로 연결되는 원인으로, 물적 원인 등이 포함됩니다. - 안전관리자의 업무
안전관리자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교육과 안전 관리 체계의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이는 사업장의 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헤드십의 특성
헤드십(Headship)은 지도자와 부하 간의 관계 및 조직 내에서 권위주의적이고 상사와 부하의 관계가 지배적인 특성을 가지며, 사회적 간격이 넓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산업안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2년 04월 24일 61번 ~80번 문제 (0) | 2025.02.05 |
---|---|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2년 04월 24일 41번 ~60번 문제 (0) | 2025.02.05 |
산업안전기사 기출문제 22년 04월 24일 21번 ~40번 문제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