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 정보(가치를 만들 수 있는 것들)

[애드핏] 애드핏 용어정리 (CPC, CTR, eCPM, Fill-rate, 광고노출수, 광고요청수,

반응형

애드핏 용어정리
애드핏 용어정리

궁금할 때마다 찾아보기 불편하여 궁금하고 광고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애드핏 용어를 모아서 정리해 보았다.

 

 

1'CPC'는 무엇인가요?

'CPC'란 'Cost Per Click'의 약자로 1회 클릭당 비용을 의미합니다.

카카오애드핏 매체별 보고서에서는 매체 및 광고 단위별로 한 클릭당 벌어들이는 CPC 값을 제공하며, 

카카오애드핏 속성별 보고서에서는 광고 유형별로 한 클릭당 벌어들이는 CPC 값을 제공합니다.

또한, CPC는 광고주의 입찰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CTR'은 무엇인가요?

'CTR'이란 'Click-through rate'의 약자로 실제 광고 노출 수 대비 클릭 수 비율 즉, 광고 클릭률을 뜻합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CTR = 클릭 수 / 광고 노출 수

 카카오애드핏 보고서에서 제공하는 CTR을 통해 AdFit의 광고 효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eCPM'은 무엇인가요?

'eCPM(Effective cost per 1000 impressions)'은 1,000회 노출 기준으로 얻을 수 있는 예상 광고 수익을 뜻합니다. 

eCPM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eCPM = 총 광고 수익 / 총 광고 노출 수 x 1000

카카오애드핏 보고서에서는 매체별 및 속성별 eCPM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AdFit의 광고 효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Fill-rate'은 무엇인가요?

'Fill-rate'란 광고 요청 대비 실제 노출한 광고의 비율을 뜻합니다.

즉,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ill-rate = 총 광고 노출수 / 총 광고 요청수

 


 

5'광고노출수'는 무엇인가요?

'광고 노출수'란 매체에서 실제로 노출한 광고의 횟수입니다.

각 광고 단위에서 실제 광고를 노출할 때마다 1회로 계산합니다.

 

카카오애드핏 매체별 보고서에서는 매체 및 광고단위별로 광고 노출수를 조회할 수 있으며, 

카카오애드핏 속성별 보고서에서는 광고 유형별로 광고노출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광고 클릭수도 중요하지만 애드핏에서는 광고노출수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6'광고요청수'는 무엇인가요?

 

'광고요청수'란 매체에서 광고를 요청한 횟수입니다. 각 광고 단위에서 광고를 요청할 때마다 1회로 계산합니다.

카카오애드 핏 매체별 보고서에서는 매체 및 광고단위별로 광고 요청수를 조회할 수 있으며, 

카카오애드핏 속성별 보고서에서는 광고 유형별로 광고요청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7'클릭수'는 무엇인가요?

'클릭수'는 매체에 게재된 광고를 실제 사용자가 클릭한 횟수입니다. 

카카오애드핏에서는 내부 규정에 따라 무효 클릭에 대한 필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횟수 중 유효 클릭에 대해서 1회로 계산합니다.

8CPC 변동 사유가 궁금합니다.

CPC는 매체에 광고를 노출하는 광고주의 입찰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고,

매체 지면의 효율에 따라 입찰 가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입찰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는데 블로그 운영자들은 광고 단가는 변동을 모르겠다고 한다.

반응형